티스토리 뷰

목차



    출산의 기쁨도 잠시 혹시 우리아기가 자폐아인지 마음을 조이며 아기의 증상을 민감하게 관찰하고 검색 해보는 부모님들이 계실텐데요. 발달이 늦을 수도 있으므로 섣불리 판단하기 보다는 사랑으로 키우며 유심히 관찰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영유아기 자폐증
    신생아 자폐증

    .

     

    의심이 들때에는 진단을 위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장하며 조기치료할수록 좋은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자폐증은 후천적으로 생기는 신경정신과적 질환이 아니고 뇌신경의 이상질환입니다

    원인으로는 뇌신경의 이상증식, 뇌조직의 면역이상, 감각이상등인데 임신시 흡연 음주 약물복용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유전적인 요소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신경학적 요인: 대뇌의 구조와 기능에 관련된 변화나 문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발생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3. 환경적 요인: 태아기간 동안의 환경 요인, 예를 들어 충격적인 사건, 감염병, 독소 노출 등이 자폐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신경화학적 요인: 뇌에서 화학적 신호 전달에 관련된 문제가 자폐증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복합적인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발생 원인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영유아기 자폐증

     

     영아기 자폐증상 

    1. 눈을 마주치지 않습니다 : 생후 2개월이 지나면 눈을 마주치며 반응을 보여 깍꿍놀이를 할 수있습니다

         그러나 자폐가 있는 아기는 눈 마주치기를 싫어하거나 짧게 마주치고는 금방 다른곳을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습니다 : 6개월이상이 되면 이름을 부르면 반응을 보이거나 고개를 돌려 소리나는 쪽을

         바라보는데 자폐증 아기는 반응이 둔하거나, 반응이 없거나  일관성이 없는 모습을 보입니다

    3. 잘 웃지 않습니다 : 아기들은 잘 웃는데 자폐증 아기는 잘 웃지 않거나 억지스러운 미소를 짓기도 합니다

    4. 음성에 대한 반응이 부족합니다 : 아기들은 주위의 소리에 민감하고 부모의 목소리에 반응을 보입니다

        그러나 자폐증 아기는 소리에 대한 반응이 둔하거나 특정소리에만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5. 감정표현 부족증상을 보입니다 : 표정이 단조롭거나 감정표현이 부족하거나 부적절한 감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부모에 대한 애착 증상을 보이지  않게 됩니다. 그러므로 낯가림이 없습니다

    6. 특정믈건에만 집착하거나 반복적인 놀이방식을 보이기도 합니다

     

    생후 1년이 안된 아기는 증상이 미세하고 다양하며 모든 자폐증을 가진 아이가 모든 증상을 나타나는 것이 아니므로 세심한 관찰과 지속적인 평가가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하여 만 2세이전 치료를 시작하면 중증이 아닌 경우 정상적인 학교생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영유아기 자폐증 영유아기 자폐증

     

     

    자폐증의 발현이 늦게 나타나는 경우는 눈맞춤과 옹알이를 잘하며 대체적으로 정상적으로 발달을 하다가 생후 18개월에서 24개월에 퇴행 또는 정체가 되면서 자폐증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이러한경우는 30~40%정도 된다고 합니다

     

     

     

     

     

     

     

    대략 만 3세경에 자리를 잡고 만 5세경에 완성이 되어 고착되므로 최소 만3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만 3세는 자폐증이 고착화되는 시기이므로 확진이 가능한 시기이면서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희박해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가능하다면 돌 이전에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하는것이 가장 최고의 결과를 기대할수 있습니다

     

     

     

     

     

     

     

     

    반응형